"짝퉁 K-패션, 어떻게 대응해 ?" - 진짜 브랜드를 지키는 건 결국 ‘권리 등록’

  • 작성일 : 2025-10-22 10:31:22

 

 

지난번에는 콜라보와 도용

이야기를 함께 나눴었죠?

 

오늘은 그보다 한 단계 더 심각한 문제,

바로 ‘위조상품(짝퉁)’ 대응 전략에 대해

이야기해볼게요

 

GO !

 

 

 


 

 

“어? 이거 내 브랜드인데?”

 

 

요즘 해외 쇼핑몰에서

우리 브랜드 이름이

낯선 판매자 이름으로 팔리고

있는 걸 본 적 있으신가요?

 

 

특허청 조사에 따르면,

중국 온라인몰에서 판매되는 ‘K-패션’ 제품 중

절반 이상이 위조상품이었다고 해요.

그 이유는 생각보다 단순합니다.

-> 우리 브랜드가 해외 상표 등록을 하지 않았기 때문!

 

 


 

 

위조상품, 어떻게 유통되는 걸까요 ?

 

 

이제 짝퉁은 길거리 시장의 이야기가 아니에요.

요즘은 ‘C-커머스’ 플랫폼(알리익스프레스, 타오바오, 테무 등) 에서

신상 K-패션을 그대로 복제해

판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
 

심지어 국내 출시 전부터 중국에서

먼저 등장하는 신상(!) 도 있죠.

 

그만큼 K-패션의 인기가 높다는 뜻이지만,

그 인기만큼 상표 도용과 침해 위험도 커지고 있습니다.

 

 


 

 

그렇다면, 어떻게 대응할까요?

 

 

기업들이 실제로 활용 중인

‘위조상품 대응 3단계 전략을 소개할게요!

 

1️⃣ 사전 대비: 상표권 등록부터

해외 시장은 ‘속지주의’ 원칙이 적용됩니다.

즉, 한국 등록만으로는 보호받지 못해요.

수출 예정 국가마다 별도 상표 출원이 꼭 필요합니다.

 

2️⃣ 증거 확보: 공증까지 철저히

위조상품 현물, 사진, 링크, 영수증 등

‘침해 증거’를 최대한 많이 확보하세요.

특히 중국은 공증 절차(인터넷 화면 공증, 구매 공증)가 필수예요.

 

3️⃣ 신속 대응: 플랫폼 제도 적극 활용

전자상거래 사이트마다 ‘게시물 삭제 요청(Notice & Takedown)’ 기능이 있어요.

-> 빠르게 신고하면 판매 중단, 링크 삭제, 계정 정지까지 가능합니다.

 


 

 

💻 플랫폼별 대응 꿀팁

 

알리바바·타오바오·알리익스프레스

→ IP Protection Platform(IPP)을 통해 침해 신고 가능

→ 판매자 포인트 감점, 링크 삭제, 샵 폐쇄 조치

쇼피(Shopee)

→ IP 침해 신고 메뉴에서 위임장·상표등록증·사진자료 제출

아마존(Amazon)

→ Brand Registry 제도를 통해 자동 탐지 + Project Zero 즉시 삭제 가능

네이버 스마트스토어

→ 지식재산권 침해신고센터에서 신고서 제출 또는 상품 페이지 내 ‘신고하기’ 버튼 클릭

 

 


 

 

실제 사례로 보는 성공 대응은?

 

👗 A사

중국 브로커에게 상표를 선점당했지만

심판 제도와 행정단속을 통해 상표권을 되찾고

위조상품 ​6,000점 압수 성공!

 

👜 B사

상표 침해만으로는 부족하다고 판단,

저작권 침해소송을 병행해 해외 유통 차단에 성공.

 

🧦 C사

경고장 4통 발송 → 2개 업체 즉시 판매 중단!

Takedown 제도 병행으로 추가 유통 차단.

 

🎒 D사

무단선점된 상표 5건을 대상으로 ​무효심판 전부 승소,

신규 상표까지 등록 완료해 재침해 방지 기반 마련!

 

 

 


 

 

‘K-브랜드 상표 분쟁 대응 전략 사업’

 

 

“혼자 해결하기 어렵다면, 이런 제도가 있어요!”

K-브랜드 상표 분쟁 대응 전략 지원사업

 

 

패션IP센터와

한국지식재산보호원에서

K-브랜드 상표 분쟁 대응 전략 지원사업을 운영 중이에요.

✔️ 해외 상표·디자인 분쟁 발생 시 맞춤형 전략 지원

✔️ 무효심판, 이의신청, 행정단속 등 법적 절차 지원

✔️ 해외 위조상품 유통 모니터링 및 플랫폼 신고 대행

 

 

이 사업을 통해

중소 패션기업들도 실제 중국·동남아 위조품 단속을 진행할 수 있었어요.

-> 자세한 안내: 한국지식재산보호원 홈페이지(ip-navi.or.kr)

 

 

[패션IP센터 (한국패션협회 운영)]★

 

✔️ 디자인권·상표·특허 등 IP 상담

✔️ 출원 상담 지원 및 법률 자문

✔️ 패션 업계 맞춤형 컨설팅까지 가능!

👉 홈페이지: fipc.or.kr

 

패션IP센터 출범(24년 6월 4일) 이후

현재까지 1년 2개월간의 성과 ! (25년 8월 8일 기준)

1. 침해의심사례 16,300건

2. 유통차단 11,200건

 

 

 


 

 

오늘은

K-패션 위조상품

유통과 대응 전략

알아봤어요!

 

K-패션의 인기는 ‘자랑’이지만,

그만큼 지식재산권 관리가 필수인 시대가 되었습니다.

 

 

“디자인은 모방될 수 있어도,

브랜드의 신뢰는 보호받아야 합니다.”

 

 

다음 편은…

더욱 뜨거운 주제

이야기로 돌아올게요 🔥

기대해주세용 !